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최근 울산의 농장에서 키우던 곰이 탈출해 농장주인 부부를 숨지게 하는 끔찍한 사고가 있었죠. <br> <br>이렇게 곰 농장에서 곰이 탈출하는 사고가 이어지고 있는데, 사유재산으로 인정돼 위험하게 방치된 곰들이 적지 않습니다. <br> <br>다시 간다, 남영주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농장에 날카로운 총성이 울립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쐈다." <br> <br>지난 8일 탈출했던 반달곰이 엽사의 총에 맞아 사살됩니다. <br> <br>곰은 농장주 부부를 덮쳐 숨지게 했습니다. <br> <br>부부가 지난 2018년 경기도 용인의 농장에서 데려와 기르던 곰이었습니다. <br> <br>[낙동강유역환경청 관계자] <br>"경기도 농장에서 계약해서 임대했다고 돼 있거든요. 계속 돌려보내라고 얘기하고 있었습니다." <br> <br>곰을 임대해줬다는 용인의 농장을 찾아가봤습니다. <br> <br>산중턱에 바닥이 철망으로 된 뜬장이 길게 놓여 있습니다. <br> <br>환경당국은 이 농장에서 불법 증식한 새끼 곰을 울산 농장에 보낸 걸로 의심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곰은 사육용과 전시관람용으로 구분되는데, 증식이 가능한 건 동물원에 있는 전시관람용 곰뿐입니다. <br><br>그런데 용인 농장에는 전시관람용 곰들이 있는 것으로 환경당국은 파악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멸종위기종인 반달곰은 매매도 금지돼 있습니다. <br> <br>농장주는 임대라고 주장하는 반면, 환경당국은 임대를 가장한 매매로 보고 소송을 벌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용인 농장에서도 곰이 탈출한 이력이 있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곰이 두 차례나 탈출한 농장입니다. <br> <br>철장 너머엔 곰의 모습도 보이는데요. <br> <br>이곳엔 웅담 채취를 위해 곰 13마리를 사육 중입니다.<br><br>농장주는 지난해에도 불법 증식 혐의가 인정돼 징역형을 살고 출소했지만, 지금도 곰을 사육하고 있습니다. <br><br>곰이 탈출할까봐 주민들은 불안합니다. <br> <br>[동네 주민] <br>"여기 아이들도 많아요. 한동안 곰이 탈출했을 때는 못 걸어다녔어요." <br> <br>[동네 주민] <br>"녹이 슬고 오래된 철장이긴 한데, 곰이 힘이 세잖아. 민가랑 너무 가깝고 이쪽 다 등산로거든. 위험하잖아." <br> <br>[한강유역환경청 관계자] <br>"(탈출을 막기 위한) 시설 개선명령을 내리고는 있거든요. 그런데 농장주가 저희가 원하는 것만큼 안하고 있는 게 사실이고. 곰이 사유재산이고 그쪽 땅도 다 사유재산이다 보니까." <br> <br>1981년 농가소득 증대를 명분으로 시작한 반달곰 수입은 4년 만에 멸종위기종 보호 목적으로 금지됐습니다. <br><br>문제는 수입 금지 전 들여와 사육이 허가된 곰이 불법 증식에 쓰여도, 사유재산이라는 이유로 몰수나 처벌이 어렵다는 겁니다. <br> <br>[정진아 / 동물자유연대 관계자] <br>"담당 기관에서도 (문제를) 인지는 하고 계세요. 곰도 사유재산으로 속하기 때문에 빼앗아 올 수는 없는 상황인 거죠." <br> <br>전국에 사육되는 반달곰은 319마리. <br> <br>사육농장도 22곳에 이릅니다. <br><br>비위생적이고 탈출 위험이 높은 곳도 적지 않습니다. <br> <br>[○○ 곰농장주] <br>"바닥이 다 이렇게 썩어서 내려앉아요. 용접하려면 많은 돈이 들어가거든요. 자발적으로 (수리)하기가 굉장히 어렵죠." <br> <br>올해 초 정부와 농가는 곰 사육을 종식하고, 국가가 보호시설에서 관리하는 내용의 협약을 맺었습니다. <br> <br>지난 5월 관련 법안이 발의됐지만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논의의 우선 순위에서 밀렸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관련 법이 시행되기 전이라도, 탈출 사고를 막을 대책이 시급해 보입니다. <br> <br>다시간다 남영주입니다. <br><br>PD : 홍주형 <br>AD : 나난현<br /><br /><br />남영주 기자 dragonball@ichannela.com